반응형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6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 PART 6 (선단 확장파일 공법) 선단확장파일은 기존 PHC파일의 선단 확장을 통해 선단 지지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파일 본 수 절감에 따른 경제성 향상 및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콘크리트 일체식으로 파일의 구조적 성능이 우수하녀, 소음 저감으로 환경성이 향상된다. 선단 확장파일 공법의 특징 - 선단 지지력 증가에 따른 파일 성능 증대로 PHC파일 수량 감소 - 파일 수량 감소에 따라 기초 크리를 줄일 수 있어 콘크리트 및 철근량 감소 - 천공 수 감소에 따른 공사비 감소 및 공기 단축, 환경성 향상 - 공장 일체식 생산으로 제품 성능 우수 - 기존의 구조 설계 및 시공방법으로 적용성 용이 2023.04.18 - [건축 시공학] -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 PART 1 (어스드릴공법, RCD공법)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 PART 1.. 2023. 4. 23.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 PART 5 (SIP공법, DRA공법, T-4공법) SIP공법 오거로 지반을 굴착한 후 공 내에 시멘트 밀크를 주입하면서 오거를 인발할 후 기성 말뚝을 삽입하는 공법이다. 최종적으로 말뚝 선단부 1~1.5m를 해머로 타입하여 말뚝 선단부의 지지력과 말뚝 주변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고 말뚝의 침하량을 최소화시켜 상부 하중을 지지한다. 프리보링과 시멘트 모르타르 주입 공법을 복합한 공법이다. 이 공법은 저소음·저진동 공법으로 도심지에서 작업이 가능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시멘트 밀크와 말뚝의 부착력 강화가 중요하다. 오거 장비는 6축까지 사용할 수 있지만 선단 지층이 단단한 경우에는 단축 오거로 시공한다. 풍화암까지 시공이 가능하다. DRA공법 DRA 공법은 이중 오거 공법으로 SDA공법으로도 불린다. 이 공법은 굴착공벽 붕괴에 따른 말뚝 지지력 저감 문제와.. 2023. 4. 22.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 PART 4 (CIP공법, PIP공법, MIP공법) CIP공법 지중에 연속되게 시공하여 주열식 흙막이 벽체를 구성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이다. 오거로 굴착하고 철근망을 삽입한 후 모르타르 주입관을 설치하고 먼저 자갈을 채운 후 주입관을 통하여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제자리 말뚝을 형성한다. 지하수가 없는 곳에 적용하면 말뚝 연결부위가 취약하다. PIP공법 연속된 날개가 부착된 중공의 스크류 오거의 머리에 구동장치를 설치하여 소요 깊이까지 회전시키면서 굴착한 후, 흙과 오거를 빼올린 분량만큼의 프리팩트 모르타르를 오거의 속구멍을 통해 압출시키면서 제자리 말뚝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사질층 및 자갈층에 적용되면 오거만으로 굴착하므로 소음, 진동이 작다. 주열식 흙막이 지수벽으로 이용한다. MIP공법 토사와 시멘트 페이스트를 혼합 교반하여 만드는 소일 콘크.. 2023. 4. 21.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 PART 3 (올케이싱 공법, 마이크로파일 공법) 올케이싱 공법 요동압입장치나 유압식 진동기로 케이싱 튜브를 관입시킨 후, 그 내부를 해머그랩으로 굴착하고 공 내에 철근망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케이싱을 뽑아내어 현장타설 말뚝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직경 0.8~2.0m, 깊이 20~50m까지 시공이 가능하지만, 기계가 무거워서 지반 안정에 유의해야 한다. 올케이싱 공법의 특징 - 전체 굴착 깊이에 케이싱을 사용하므로 공벽 붕괴 위험이 없고 주변 지반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근접시공이 가능하다. - 굴착 속도가 느리지만, 암반을 제외하고 모든 토질에 적용할 수 있다. - 비교적 저소음·저진동 공법이며 15˚ 정도의 경사말뚝 시공도 가능하다. - 모래층이 두꺼울 때는 케이싱 인발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 해머그랩의 낙하 충격으로 선단 지반이 약화.. 2023. 4. 20.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 PART 2 (PRD공법, barrette공법) PRD공법 대구경 말뚝 굴착장비로 지반을 굴착한 후 철근망을 삽입하여 말뚝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도심지 탑다운 공법 적용 현장의 기둥으로 흔히 사용된다. 파일 드라이버에 장착된 해머 비트를 압축공기로 타격하면서 케이싱을 회전시키며 지반을 굴착하고 공기를 이용하여 굴착토를 배출한다. 이 공법은 중심선, 측량, 외부 케이싱 설치, 내부 케이싱 설치, 천공, 철근망 삽입, 기둥철골 설치, 콘크리트 타설, 케이싱 인발 등의 순서로 공사된다. PRD공법의 특징 - 굴진 속도가 빨라 시공효율이 높다 - 저암 및 저소음 장비를 사용하므로 민원발생이 적다. - 올 케이싱 공법으로 케이싱 내부의 토사를 공기를 이용 배출하므로 선단 지지층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 장비 조립 완료 후 이동 시 복공판 설치를 하여야 하며.. 2023. 4. 19.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 PART 1 (어스드릴공법, RCD공법) 2023.04.18 - [건축 시공학] -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 PART 1 (어스드릴공법, RCD공법)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 PART 1 (어스드릴공법, RCD공법) 2023.04.18 - [건축 시공학] -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 PART 1 (어스드릴공법, RCD공법) 2023.04.19 - [건축 시공학] -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 PART 2 (PRD공법, barrette공법) 현장에서 소정의 위치에 hy-mouse.tistory.com 2023.04.19 - [건축 시공학] -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 PART 2 (PRD공법, barrette공법)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 PART 2 (PRD공법, barrette공법) PRD공법 대구경 말뚝 굴착장비로 지반을.. 2023. 4.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