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년의 내 집 마련의 꿈202 24년도 1회 기출 공부 노트 - 건축구조 41. 그림과 같은 부정정 라멘에서 A점의 MAB 는?① 0 ② 20kN · m ③ 40kN · m ④ 60kN · m정답 : ② 42. 강도설계법에서 D22 압축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 ldb는?(단, 경량콘크리트 계수 λ= 1.0, fck =27MPa, fy =400MPa)① 200.5mm② 378.4mm③ 423.4mm ④ 604.6mm정답 : ③ 43. 그림과 같이 스팬이 7.2m이며 간격이 3m인 합성보 A의 슬래브 유효폭 be는?① 1,400mm ② 1,600mm ③ 1,800mm ④ 2,000mm정답 : ③ 44. 그림과 같은 강접골조에 수평력 P=10kN이 작용하고 기둥의 강비 K= ∞인 경우, 기둥의 모멘트가 최대가 되는 변곡점의 위치 ho는? (단, 괄호 안의 기호는 강비이다.)① 0.. 2025. 3. 27. 24년도 1회 기출 공부 노트 - 건축설비 61. 다음 중 증기 압축식 냉동기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터보식 냉동기 ② 왕복동식 냉동기 ③ 스크류식 냉동기 ④ 흡수식 냉동기정답 : ④ 62. 실내 냉방부하 중 현열부하가 620W, 잠열 부하가 155W일 때 현열비는? ① 0.2 ② 0.25 ③ 0.4 ④ 0.8현열부하/전체 냉방부하 620/775정답 : ④ 63. 다음 그림과 같은 형태를 갖는 간선의 배선방식은?① 개별방식 ② 루프방식 ③ 병용방식 ④ 나뭇가지방식정답 : ① 64. 다음 설명에 알맞은 요운전원 엘리베이터 조작방식은? 기동은 운전원의 버튼 조작으로 하며, 정지는 목적층 단추를 누르는 것과 승강장의 호출 신호로 층의 순서 대로 자동 정지한다. ① 카 스위치 방식 ② 레코드 컨트롤 방식 ③ 전자동 군관리 방식 ④ 시그널 컨트롤 방식정.. 2025. 3. 26. 강구조 재료 - 봉강, 강판 봉강봉강은 단면이 둥근 원형강, 반원형강, 8각강, 6각강, 각강, 평강 등이 있다. 봉강을 원형강 또는 철근이라고 하며 그 표면에 두드러진 마디를 붙인 이형철근과 표면을 평활하게 갈아 만든 마강재가 있다. 강판두께 3mm 이하의 것을 얇은 강판, 6mm 이상의 것을 두꺼운 강판이라 하며, 강판표면에 두드러진 무늬를 놓은 무늬 강판과 좁은 나비로 된 평강 등이 있다. 2025. 3. 25. 강구조 재료 - 형강, 경량형강 형강형강은 여러가지 단면형이 있으며 건축 구조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L형강, I형강, H형강 등이 있다. 경량형강경량형강 생산에 사용되는 원판은 열간압연강판, 냉간압연강판, 그리고 이들 강판을 방청처리한 아연도금 강판들이 주로 사용된다. 열간압연강판의 경우 두께는 1.2~6.0mm, 냉간압연강판은 0.5~3.2mm, 그리고 아연도금강판은 05~6.0mm 두께의 제품들이 주로 생산되며 강판을 상온에서 롤러나 프레스로 성형하는 방식으로 생산된다. 롤 성형 강판을 여러 개의 롤에 통과시켜 원하는 형상으로 만들어 내는 방법으로 조금씩 성형해 나가기 때문에 형상이 복잡할수록 사용되는 롤러의 수가 증가한다. 단순 형상의 경우 6개 정도의 롤을 사용하나 복잡한 경우 15~20개의 롤을 사용한다. 롤러 성형의 .. 2025. 3. 24. 강구조 개요 및 장단점 강구조 공사 계획 시 검토 사항과 각 단계의 사전 계획에 관해 알아보고 강구조의 공장 제작과 강구조 부재의 접합공법의 종류와 특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강구조 세우기의 순서와 단계별 특징과 내화피복 공사, 데크 플레이트 및 스페이스 프레임에 관한 내용을 수록하였다. 또한 마지막으로 강구조 공사의 업무 절차와 공사 진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인자의 분석과 대응 방안을 정리하여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강구조란 각종 형강과 강판을 볼트, 리벳, 고력볼트, 용접 등의 접합 방법으로 조립하여 건물의 뼈대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철골구조라고도 한다. 강구조 공사는 순 철골구조의 강구조 공사와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 중의 강구조 공사로 분류된다. 강구조 작업은 부재를 가공하는 공장 .. 2025. 3. 23. 콘크리트 공사 단계별 문제점과 대책 콘크리트 공사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다음 표와 같이 '설계도서 검토'에서 '콘크리트 타설' 단계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설계도서 검토 단계에서 '골조와 마감 도면의 불일치', '부적절한 공법 설계' 등의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의 대책으로는 '마감공사 협력업체와 도면 크로스 체크' 및 '도급계약 시 설계변경 사유에 포함' 등이 있다. 이러한 대책은 현장 개설 후 1개월 이내 및 계약 전에 마련하여 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25. 3. 22. 이전 1 2 3 4 ··· 3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