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특수콘크리트4

특수 콘크리트 - 방사선 차폐용콘크리트, 진공콘크리트, 노출콘크리트 방사선 차폐용콘크리트 원자로 관련 시설, 의료용 조사실 등에 사용되는 감마선과 중선자선 등의 방사선을 차폐하여 생채를 방호할 목적으로 시공하는 콘크리트이다. 슬럼프는 15cm 이하로 하고 물시멘트비는 50% 이하를 원칙으로 한다. 시공 시 이음부에서 최대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며, 차폐검사를 통해 콘크리트의 품질을 확인한다.  진공 콘크리트 콘크리트가 경화하기 전에 진공 매트 등으로 콘크리트 표면을 덮고 펌프 등으로 물과 공기를 흡입하고 대기압에 의해서 콘크리트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시공하는 콘크리트이다. 슬럼프는 15cm 이하로 하고 물시멘트비는 50% 이하를 원칙으로 한다. 시공 시 이음부에서 최대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며, 차폐검사를 통해 콘크리트의 품질을 확인한다.  노출콘크리트 공사 콘크리트에 모.. 2025. 3. 7.
특수 콘크리트 - 프리팩트 콘크리트, 해양 콘크리트, 팽창 콘크리트, 섬유보강 콘크리트 프리팩트 콘크리트 거푸집 속에 미리 굵은 골재를 채워 넣은 후, 그 속에 유동성이 좋은 특수 모르타르를 적당한 압력으로 주입하여 타설한 콘크리트이다. 프리팩트콘크리트는 기존 구조물의 보수·보강 공사에 사용하며 기초공사 및 주열식의 현장 타설 흙막이 공사에 사용한다. 거푸집의 강도는 주입 모르타르의 측압을 견뎌야 하며, 이음부에서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이 없도록 한다. 프리팩트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콘크리트의 품질을 확인하기가 어려우므로 필요한 품질이 확실히 얻어질 수 있도록 모르타르의 배합을 결정하고 시공 방법을 정한다.  해양콘크리트 해양콘크리트는 바닷속이나 바다가 가까워 염해를 받기 쉬운 곳에 시공하는 콘크리트이다. 해양콘크리트는 염해에 의해 콘크리트가 노후되고 강재의 부식이 일어나기 쉬우.. 2025. 3. 6.
특수콘크리트 - 고내구성 콘크리트 높은 내구성을 필요로 하는 건축물에 사용하는 콘크리트로서 파손·노후·균열 등이 생기지 않고 오랜 기간 동안 사용 성능을 유지한다. 콘크리트의 내구성은 염해, 중성화, 알칼리골재반응, 동결융해, 온도변화, 건조수축 등에 의해 저하되므로 배합설계 및 시공 과정에서 철저한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설계기준강도는 보통 콘크리트에서 21~40MPa, 경량 콘크리트에서는 21~27MPa 정도로 정한다. 슬럼프값은 120mm 이하, 유동화제를 사용할 경우는 180mm 이하로 하며 물시멘트비 최댓값은 다음과 같다. 종류보통콘크리트(%)경량콘크리트(%)포틀랜드 시멘트고로슬래그 시멘트 특급실리카 시멘트 A종플라이 애시 시멘트 A종5055고로 슬래그 시멘트 1급실리카 시멘트 B종플라이 애시 시멘트 B종5555 2025. 3. 2.
특수 콘크리트 - 매스 콘크리트 부재의 단면이 커서 시멘트의 수화열로 인해 온도 균열이 생길 가능성이 큰 구조물에 타설하는 콘크리트이다. 부재의 두께가 800mm 이상이거나 하단이 구속된 경우에는 두께 500mm 이상의 벽체 등에 타설하는 콘크리트로서, 온도 균열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 콘크리트 강도가 커지고 부재의 크기가 커져 수화열에 의한 온도 균열 발생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매스콘크리트의 온도 균열 시멘트 수화열에 의한 매스 콘크리트의 온도 균열 발생 원리는 크게 내부 구속과 외부 구속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내부 구속 콘크리트에 포함된 시멘트는 물과 수화반응을 하여 발생시킨다. 콘크리트 표면에서는 수화열이 외부로 방출되고 콘크리트 내부에서는 수화열이 방출되지 못하여 온도 차이가 크게 난다. 온도 차이는 콘크리트 .. 2025. 2. 28.
반응형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