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하다.
③ 초벌바름에 균열이 없을 때에는 고름질한 후 7일 이상 두어 고름질면의 건조를 기다린 후 균열이 발생 하지 아니함을 확인한 다음 재벌바름을 실시한다.
④ 재벌바름이 지나치게 건조한 때는 적당히 물을 뿌리고 정벌바름한다.
정벌바름용 반죽은 물과 혼합한 후 12시간 정도 지난 후 사용한다.
정답 : ②
32. 수밀콘크리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콘크리트 소요 슬럼프는 되도록 작게하여 180mm를 넘지 않도록 한다.
②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시키기 위해 공기 연행제, 공기연행감수제, 또는 고성능 공기연행감 수제를 사용 하는 경우라도 공기량은 2% 이하가 되게 한다.
③ 물결합재비는 50%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④ 콘크리트 타설시 다짐을 충분히 하여, 가급적 이어붓기를 하지 않아야 한다.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시키기 위해 공기 연행제, 공기연행감수제, 또는 고성능 공기연행감 수제를 사용 하는 경우라도 공기량은 4% 이하가 되게 한다.
정답 : ②
33. 파워 셔블의 1시간당 추정 굴착 작업량으로 다음 조건일 때 가장 옳은 것은?
버킷용량은 1.5㎡ 이며, 작업 효율은 100%이며, 굴삭토의 용적변환계수는 1.2이고, 싸이클 타임은 1분이다. (단, 굴삭계수는 0.6)
① 108㎡
② 81㎡
③ 64.8㎡
④ 54㎡
터파기량=버킷용량*(3600/사이클타임)*작업효율*굴착계수*굴착토의 용적변화계수
터파기량=1.5*(3600/60)*1*0.6*1.2=64.8
정답 : ③
34. 목공사에 사용되는 철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감잡이쇠는 큰 보에 걸쳐 작은 보를 받게 하고, 안장 쇠는 평보를 대공에 달아매는 경우 또는 평보와 ㅅ자 보의 밑에 쓰인다.
② 못의 길이는 박아대는 재두께의 2.5배 이상이며, 마구리 등에 박는 것은 3.0배 이상으로 한다.
③ 볼트 구멍은 볼트지름보다 3mm 이상 커서는 안 된다.
④ 듀벨은 볼트와 같이 사용하여 듀벨에는 전단력, 볼트 에는 인장력을 분담시킨다.
감잡이쇠 :평보를 대공에 달아맬 때,평보와 ㅅ자보의 밑에 쓰임
인장쇠 :한 부재에 걸치고 다른 부재를 받는데에 쓰임
정답 : ①
35. 기계가 위치한 곳보다 높은 곳의 굴착에 가장 적당한 건설기계는?
① Dragline
② Back hoe
③ Power Shovel
④ Scraper
드래그라인 -기계가 서 있는 위치보다 낮은 장소의 굴착 및 수중굴착 가능(연약한 지반의 굴착에 적합)
파워셔블 -
기계가 서 있는 지반면보다 높은 곳의 땅파기에 적합
백호=드래그셔블 -기계가 서 있는 지면보다 낮은 장소의 굴착 및 수중굴착이 가능(굳은 지반의 토질도 정확히 굴착 된다.)
스크래퍼 - 굴토, 다짐, 운반, 정지작
정답 : ③
36. 콘크리트의 내화, 내열성에 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콘크리트의 내화, 내열성은 사용한 골재의 품질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② 콘크리트는 내화성이 우수해서 600℃ 정도의 화열을 받아도 압축강도는 거의 저하하지 않는다.
③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내화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철근의 피복두께를 충분히 하면 좋다.
④ 화재를 당한 콘크리트의 중성화 속도는 화재를 당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크다.
콘크리트는 500~580℃ 정도의 화열을 받으면 수산화칼슘(Ca(OH2))이 열분해되어 알칼리성을 상실
이로 인해 콘크리트의 강도 저하, 수축, 균열 등의 손상이 발생
정답 : ②
37. 벽돌쌓기 시공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연속되는 벽면의 일부를 나중쌓기 할 때에는 그 부분을 층단 들여쌓기로 한다.
② 내력벽 쌓기에서는 세워 쌓기나 옆쌓기나 주로 쓰인다.
③ 벽돌 쌓기 시 줄눈모르타가 부족하면 하중분담이 일정 하지 않아 벽면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④ 창대쌓기는 물흘림을 위해 벽돌을 15°정도 기울여 벽면 으로 3~5cm 정도 내밀어 쌓는다.
정답 : ②
38. 다음 중 QC(Quality Control) 활동의 도구가 아닌 것은?
① 기능계통도(Function Diagram)
② 산점도
③ 히스토그램(Histogram)
④ 특성요인도
품질관리(QC)의 7가지 도구로 특성요인도, 파레토도, 히스토그램, 층별, 산점도, 체크시트, 관리도가 있다.
정답 : ①
39. 모래의 전단력을 측정하는 가장 유효한 지반조사 방법은?
① 보링
② 베인테스트
③ 표준관입시험
④ 재하시험
표준관입시험은 사질(모래)지반의 상대밀도나 전단력을 구하는 시험
정답 : ③
40. 칠공사에 관한 주의사항으로 적당치 않은 것은?
① 바탕의 건조가 불충분하거나 공기의 습도가 높을 때에는 시공하지 않는다.
② 초벌부터 정벌까지 같은 색으로 시공해야 한다.
③ 야간은 색을 잘못 칠할 염려가 있으므로 시공하지 않는다.
④ 직사광선은 가급적 피하고 도막이 손상될 우려가 있을 때에는 칠하지 않는다.
불투명 도장일 때에는 초벌부터 정벌까지 다른 색으로 시공해야 한다.
정답 : ②
'건축기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도 1회 기출 공부 노트 - 건축구조 (0) | 2025.03.27 |
---|---|
24년도 1회 기출 공부 노트 - 건축설비 (0) | 2025.03.26 |
24년도 1회 기출 공부 노트 - 건축법규 (0) | 2025.03.19 |
24년도 1회 기출 공부 노트 - 건축계획 (0) | 2025.03.15 |
건축기사 시험 (0) | 2025.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