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조사는 건설공사 대상 지역의 지질구조, 지반 상태, 토질 등에 관한 정보를 얻을 목적으로 수행하는 일련의 행위로서, 그 결과는 토공사, 흙막이 공사, 건축물 기초 설계·시공 등에 필요한 데이터나 정보이다.
계획단계에서 실시하는 예비조사와 설계단계에서 시행하는 본 조사로 구성되며, 현장답사, 시추조사, 원위치시험, 실태시험 등의 방법으로 조사한다. 공사 추진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이 지반을 구성하는 흙과 물로서 그 종류, 상태 분포 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예비조사
계획단계에서 대지선정, 건축물 위치 결정을 위해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개략적인 지반 특성을 파악하고 본 조사 실시방침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한다. 기초자료조사, 현장답사, 주변 구조물과 환경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수행한다.
본조사
기본설계 단계의 개략조사와 실시설계 단계의 정밀조사로 구분할 수 있다. 대지나 건축물 위치 결정 후 지층의 분포, 공학적 특성 등 설계 정수 파악을 위해 수행한다.
지표지질 조사, 물리탐사, 시추조사, 표준 관입시험 등 사운딩 방법으로 시행한다.
이 이외에 시공단계에서 노출되는 지반을 관찰하여 시공 시 안전과 설계의 적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보완조사를 할 수 있다. 건축물 유지관리 단계에서도 건축물 안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원인 규명과 보수보강 대책 마련을 위해 건축물과 지반의 거동 특성 등을 조사해볼 수 있다.
2023.03.14 - [건축 시공학] - 흙의 종류 및 구성
흙의 종류 및 구성
흙의 종류 건축물을 지탱하는 흙은 각기 다른 성질과 강도를 가진 암반, 돌, 실트, 진흙, 롬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혼합하여 층을 이루어 지반을 형성하고 있다. 지반이 모래질이 많은가 또는
hy-mouse.tistory.com
2023.03.12 - [건축 시공학] - 건축물의 측량 순서와 거리 측량 방법
건축물의 측량 순서와 거리 측량 방법
건축물 측량의 순서 기준점(수평 및 수직 위치) 측량 - 수평 위치는 건축물 주변에 기준점 망 구성, 수직위치는 건물 주변의 안전지대에 BM설치 ▼ 부지 경계 측량 - 지적 도근점을 기준으로 경계
hy-mouse.tistory.com
'건축 시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공사와 물의 관계 (0) | 2023.03.15 |
---|---|
흙의 종류 및 구성 (0) | 2023.03.14 |
건축물의 측량 순서와 거리 측량 방법 (0) | 2023.03.12 |
여러 가지 양중 장비 (휠 크레인, 크롤러 크레인, 가이 데릭 등) (0) | 2023.03.11 |
리프트의 종류와 설치 (0) | 2023.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