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슬럼프2

특수콘크리트 - 유동화 콘크리트 단위 수량이 적은 콘크리트에 유동화제를 첨가하여 유동성을 크게 한 콘크리트이다. 유동화콘크리트는 단위 수량은 적지만 시공성이 좋은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하므로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줄일 수 있다. 유동화제를 첨가한 후에도 필요한 품질을 담을 수 있도록 배합, 타설, 양생 등에 주의해야 한다. 유동화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는 베이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따라 정해지며 슬럼프의 최대치는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의 종류베이스 콘크리트유동화 콘크리트보통콘크리트150mm 이하210mm 이하경량콘크리트180mm 이하210mm 이하 유동화콘크리트의 재 유동화 원칙적으로 하지 못하며 부득이한 경우 책임기술자의 승인을 받아 1회에 한해 재 유동화할 수 있다. 유동화콘크리트의 비비기부터 타설 완료까지의 시간은 보통 콘크리트와 .. 2025. 3. 4.
콘크리트의 배합과 배합강도, 슬럼프 콘크리트로서 필요한 강도, 내구성, 워커빌리티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시멘트, 물, 잔골재, 굵은 골재를 적당한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요구하는 성능의 콘크리트를 얻기 위해 콘크리트 배합 설계 시 공기량 및 혼화재료의 비율도 고려한다. 같은 배합이어도 사용재료가 다르면 강도, 내구성, 워커빌리티 등이 변화하므로 실제로 사용할 재료에 대하여 시험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배합을 결정하여야 한다. 1회 타설할 수 있는 콘크리트의 단면형상, 치수 및 강재의 배치, 콘크리트의 다지기 방법 등에 따라 워커빌리티가 달라지므로 거푸집 구석구석까지 콘크리트가 충분히 채워지도록 하고, 다지는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재료가 분리되지 않도록 콘크리트의 배합을 정하여야 한다. 최근에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주로 사용하기 때.. 2023. 6. 8.
반응형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