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기둥

2.보
보의 경우 단부에서는 상부가 인장력을 부담하고 경간의 중앙 부분에서는 인장력을 하부가 부담하므로, 상부주근의 경우는 보의 중앙부분에서 하부주근의 경우는 보의 단부에서 잇는다.
-일반보

-수압을 받지 않는 지중보

- 수압을 받는 지중보

2023.05.19 - [건축 시공학] - 철근의 이음 및 정착 - 겹침이음, 기계식이음
철근의 이음 및 정착 - 겹침이음, 기계식이음
철근의 이음 철근은 콘크리트와 일체가 되어 구조체의 뼈대 역할을 하게 되므로 철근의 끊어짐이 없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구조안전성 측면에서 가장 좋다. 그러나 철근은 생산·운반·시공의
hy-mouse.tistory.com
2023.05.20 - [건축 시공학] - 철근의 이음 및 정착 - 용접이음, cad welding, G-loc splice
철근의 이음 및 정착 - 용접이음, cad welding, G-loc splice
2023.05.19 - [건축 시공학] - 철근의 이음 및 정착 - 겹침이음, 기계식이음 용접이음 아크용접 용접봉과 철근에 전류를 통하게 하여 용접봉의 끝부분을 녹여 철근에 용착한다. 플러시 버트 용접 전
hy-mouse.tistory.com
반응형
'건축 시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근 피복의 두께 확보 목적 (0) | 2023.05.23 |
---|---|
철근의 정착길이 및 정착위치 (0) | 2023.05.22 |
철근의 이음 및 정착 - 용접이음, cad welding, G-loc splice (0) | 2023.05.20 |
철근의 이음 및 정착 - 겹침이음, 기계식이음 (0) | 2023.05.19 |
철근의 가공 - 프리패브공법 (0) | 2023.05.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