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계획
콘크리트 시공계획에 맞추어서 검사할 항목을 선정하고, 필요한 인원을 배치하며, 시험 및 검사의 방법·시기 및 횟수 등을 설정한다. 검사는 공사의 종류 및 규모, 공사 기간, 재료나 적용공법의 신뢰성 및 숙련도, 시공의 시기, 후속 공정에 대한 영향, 효율 등을 고려한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품질검사
건설 현장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콘크리트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이므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중심으로 품질검사 계획을 수립한다.
①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발주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는 골재의 최대 치수, 강도, 슬럼프 순으로 주문하며, 수량, 타설일시, 장소를 정확히 전달한다.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공장을 선정할 때는 운반 거리, 운반 시간, 대기 예상 시간 및 타설 시간을 사전에 충분히 검토하여 선정한다.

②콘크리트 현장 도착 시 품질검사
현장에 도착한 콘크리트는 타설하기 전에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송장을 확인한 후 품질검사를 하여야 한다.
- 운반 시간은 현장에 도착한 시간 기준이 아니라 타설된 시간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
- 콘크리트 워커빌리티 검사는 긁은 골재 최대치수 및 슬럼프가 계획치를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재료분리 저항성을 외관 관찰에 의해 확인해야 한다.
- 강도 검사에서 불합격한 경우가 발생하면 기 타설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하여 콘크리트 강도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 내구성 검사는 공기량과 염화물이온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 검사 결과 불합격된 콘크리트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검사항목 | 검사시기 및 횟수 | 시험방법 | 판정기준 |
시료채취 | - | KS F 2401 | |
워커빌리티 및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상태 | 타설 초기 및 타설 중 | 육안검사 | 워커빌리티가 좋은 것 품질이 균일하고 안정적일 것 |
슬럼프 | -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 체취시 - 구조체 콘크리트의 강도점 사용 공시체 채취시 - 타설중 품질변화가 인정될 때 |
KS F 2402 | 슬럼프의 허용오차 |
공기량 | KS F 2409 KS F 2421 KS F 2449 |
공기량의 허용오차 |
|
경량콘크리트의 단위용적 중량 | KS F 2409 | 경량골재 콘크리트 1종 : 1.7~2.0(t/㎥) 경량골재 콘크리트 2종 : 1.4~1.7(t/㎥) |
|
압축강도 | 타설공구마다, 타설일마다, 타설량150㎥당 또는 그 단수마다 1회 1검사 로트에 3회 |
KS F 2405 다만, 양생은 표준양생이고 재령은 28일 |
- 1회 시험결과는 지정한 호칭강도의 85% 이상 - 3회 시험결과 평균치는 호칭강도 이상 |
염화물량 | 해사나 염화물이 포함되었는지 의심스러운 골재를 사용한 경우는 타설 초기 및 150㎥당 1회 이상 그 외의 경우 1일에 1회 이상 |
KS F 4009 KASS 5T-501 KASS 5T-502 |
KS F 4009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규정한 값 이하일 것 |
단위수량 | 타설초기 타설 중 품질변화가 인정될 때 |
배합표 및 콘크리트의 제조관리 기록에 의한 확인 | 규정한 값 이하일 것 |
③콘크리트의 시공 검사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할 깨 검사계획에 따라 적절한 검사를 실시한다. 검사 결과, 타설 및 양생이 적절하지 못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설비, 인원 배치, 공법개선 등 원하는 품질의 콘크리트 공사를 할 수 있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거푸집 존치 기간을 변경하거나, 조기에 재하하는 등 안전성 여부를 판단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현장에 타설한 콘크리트와 동일한 상태에서 양생한 시험체를 사용하여 압축강도 시험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2025.02.16 - [건축 시공학] - 콘크리트 양생 방법 및 주의사항
'건축 시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크리트 줄눈 - 시공 줄눈 (0) | 2025.02.21 |
---|---|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검사 (0) | 2025.02.20 |
콘크리트 양생 방법 및 주의사항 (0) | 2025.02.18 |
콘크리트 표면 마무리 방법 (0) | 2025.02.17 |
콘크리트 다지기 방법 (0) | 2025.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