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시공학

양중 장비- 타워크레인 part3 (안전 및 해체)

by 꿀정보, 꿀팁 2023. 3. 9.
반응형

2023.03.07 - [건축 시공학] - 양중 장비- 타워크레인 part1 (설치 계획 및 분류 방법)

 

양중 장비- 타워크레인 part1 (설치 계획 및 분류 방법)

2023.03.08 - [건축 시공학] - 양중 장비- 타워크레인 part2 2023.03.09 - [건축 시공학] - 양중 장비- 타워크레인 part3 양중 장비란 자재를 상하 또는 좌우로 운반하고, 작업자를 건축물의 상하로 이동시키

hy-mouse.tistory.com

2023.03.08 - [건축 시공학] - 양중 장비- 타워크레인 part2 (설치 및 보강)

 

양중 장비- 타워크레인 part2 (설치 및 보강)

2023.03.07 - [건축 시공학] - 양중 장비- 타워크레인 part1 2023.03.09 - [건축 시공학] - 양중 장비- 타워크레인 part3 타워크레인의 기초 및 보강 강말뚝 방식 강말뚝 방식은 탑 다운 공법을 채택하는 경우

hy-mouse.tistory.com

타워크레인 종류별 특징

1. T형 크레인

- 보편적인 타입으로 작업 반경 내에 장애물이 없는 경우 주로 사용

- /지브가 수평이고 트롤리가 붐을 따라 앞뒤로 움직이며 작업 반경 조절

- 안전성이 높고, 소비전력이 비교적 작음

- 작업성이 좋고, 월 사용료가 비교적 저렴

 

2. 러핑 크레인

- 상하 기복형

- 이동식 크레인처럼 지브를 상하로 움직여 작업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떨어지지만, 지브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지상권 침해를 예방 가능

- 도심지 현장이나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이 용이하며 인양능력은 작지만, 주위 장애물에 대한 적응성이 좋음

- T형에 비해 고가이며, 초고층 건물에서 많이 사용됨

- 기초 수직이동 방식은 기초에 걸리는 축력 및 모멘트가 크기 때문에 구조체 보강을 실시하여야 함

 

 

 

 

타워크레인의 안전

타워크레인은 최초 건설기계등록 이후 검사, 설치·사용, 해체과정을 반복한다. 현장 반입 전에 마스트, 볼트·핀, 트롤리, 후크 등 부재, 부품, 안전장치 등을 육안으로 검사하고 필요할 경우 비파괴검사를 시행한다.

신규등록 검사 후 사용 중 정기검사와 구조 변경검사 등을 단계적으로 그리고 필요할 경우 실시한다. 설치 후 6개월마다 시행하는 정기검사에서는 안전장치 작동 여부, 볼트·;s 체결 상태, 하중 테스트, 등록증에 기재된 사항과 동일성 여부 등을 확인하여 기계, 장비, 부품 결함 등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구조변경 시 실시하는 구조변경 검사는 와이어 로프 등 구조변경 시 적정 규격 준수 여부 등을 검사하는 것이다.

장비의 노후화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연식 15년 이상 된 타워크레인은 현장설치 전 비파괴검사, 안전검사 등 실시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도록 하고 있다, 규칙적으로 장비를 점검하고 적정 인양 하중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며, 운전 중 신호수를 배치한다.

 

순간풍속 10m/sec 이상, 강수량 1mm/hr 이상, 강설량 10mm/hr 이상 시 설치·인상·수리·점검·해체 작업을 중지하고, 순간풍속 15m/sec 이상 시에는 운전 작업을 중지한다. 흔들리기 쉬운 자재는 가이드 로프를 사용하며, 지브 및 후크의 위치가 제 위치에 있는지 수시로 확인하여야 한다.

 

작업
구분
재해유형 원인 대책
설치 타워 기초 전도 - 기초 앵커 지지력 부족 -제작 메누얼 사전 검토
텔레스
코픽
(상승)
상부구조
무너짐
- 연결핀 해체 상태에서 크레인 작동
- 균형상태 확인 미흡
- 작업절차 준수 확인
- 균형상태 확인
텔레스코픽
케이지 떨어짐
- 설비 유지관리 소홀
-고정상태 확인 미흡
- 노후 부품 정품교체
- 실린더 슈 향상 개선
- 안착상태 확안
연장용
마스트에 깔림
- 가이드레일 고정 불량
- 안전시설 설치 미흡
- 가이드레일 안전시설 보완
사용 인양물에 맞음 - 와이어 로프, 인양물 결속선 파단
- 운반경로 하부 근로자 출입
- 인양물 결속 확인
- 근로자 출입 통제
인양물에 깔림 - 하역장소 근로자 출입
- 신호 체계 미흡
- 중량물 취급계획서 이행 철저
해체 케이지에서 떨어짐 - 안전대 미착용
- 작업발판, 안전난간 고정 불량
- 안전대 착용 확인
- 위험작업 지도, 감시
공통사항 근로자 떨어짐 - 안전대 등 추락방지 조치 미흡 - 위험작업 지도, 감시

 

타워크레인 해체

마스트 상승방식은 텔레스코픽 작업을 하여 마스트를 자체 해체 후 이동식 크레인으로 지브 및 몸체를 해체 후 반출하며, 작업 공간이 필요하다. 크레인 상승방식의 경우에는 해체용 장비의 설치 및 반출 계획을 사전에 충분히 검토 후 수립하여야 한다.

 

반응형

댓글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