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축시공177

흙막이 벽체 공법 종류 및 방법 알아보기 1. 엄지말뚝 공법 H 파일 + 토류판 공법이라고 불리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가장 많은 시공실적을 가지고 있다. 엄지말뚝 공법은 지중에 엄지말뚝을 타입하거나 미리 천공하여 강재를 삽입한 후 굴착을 진행하면서 목재 토류판을 설치하여 흑막이 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이다. 엄지말뚝은 일반적으로 1.0m~2.0m 간격으로 설치하고, 굴착 심도나 토질 조건에 따라 파이프나 레일도 사용되고 있다. 이 공법은 비교적 시공이 용이하고, 경질 지반에서는 보링 기계로 천공함에 따라 소음,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지하 수위가 높고 투수성이 큰 지반에서는 차수 공법을 병행하여야 하며, 연약한 지층이나 토류판 설치 시 토류판 뒤채움 부실로 인한 지반 변위가 발생하기 쉽고 히빙 현상 또는 보일링 현상이 생길 우려가.. 2023. 1. 25.
토공사의 범위 및 정의 알아보기 토공사는 건축물의 지하구조물을 만들기 위해서 이루어지는 터파기 공사와 흙막이 공사 및 이에 부수되는 공사를 말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표토 제거, 절토, 성토 등의 지반 정지공사, 터파기, 잔토 처리 및 되메우기 등의 굴토 공사, 흙막이 벽체, 지지체, 차수벽 등의 흙막이 공사 등의 토공사의 범주에 포함한다. 이러한 토공사는 건축물의 고층화·대형화 경향에 따라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특히 도심지 건축물의 지하 공사는 높은 지가와 주차 공간 확보의 필요성 등으로 인해 굴착 깊이는 깊어지고 규모는 점차 커지고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지하 공사의 작업은 작업공간의 확보, 인접 구조물의 피해 예방, 민원 발생 억제, 지중 매설물 보호 등에 있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과거 토공사의 주된 관심 사항은 흙.. 2023. 1. 25.
가설공사에 대한 종류와 구분 가설공사는 건축공사에서 본 공사를 위하여 필요한 일시적인 설비를 하는 공사를 말하며, 본 공사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은 건물이 철거될 때까지 그 자리에 남지만, 가설공사로 취급되는 것은 공사 초기에 설치되었다가 해당 가설이 필요한 해당 공종의 공사가 끝나면 해체된다. 그리고 가설공사는 현장 여건, 공사의 규모, 공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공사의 성격에 따른 사전의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가설공사를 공통가설공사, 직접 가설공사 그리고 가설 장비로 분류할 수 있으며, 공통가설공사는 특정 공종에 국한돼서 본 공사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구조물이나 시설물이 아니고 각 공종의 작업을 진행하는데 공통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가설 울타리, 가설건물, 가설도로, 공사용 전력 설비, 공사 용수 설비 등을 말하고.. 2023. 1. 24.
반응형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