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시험
로드의 선단에 부착한 저항테를 땅속에 삽입하여 관입·회전·인발 등에 대한 저항으로부터 토층의 성상을 탐사하는 시험이다. 사운딩은 보링과 병용하면 효과가 크다.
2023.03.14 - [건축 시공학] - 흙의 종류 및 구성
흙의 종류 및 구성
흙의 종류 건축물을 지탱하는 흙은 각기 다른 성질과 강도를 가진 암반, 돌, 실트, 진흙, 롬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혼합하여 층을 이루어 지반을 형성하고 있다. 지반이 모래질이 많은가 또는
hy-mouse.tistory.com
2023.03.12 - [건축 시공학] - 건축물의 측량 순서와 거리 측량 방법
건축물의 측량 순서와 거리 측량 방법
건축물 측량의 순서 기준점(수평 및 수직 위치) 측량 - 수평 위치는 건축물 주변에 기준점 망 구성, 수직위치는 건물 주변의 안전지대에 BM설치 ▼ 부지 경계 측량 - 지적 도근점을 기준으로 경계
hy-mouse.tistory.com
표준관입시험
미리 뚫어 놓은 시추공에 표준 관입 시험용 샘플러를 로드의 선단에 부탁하고 63.5kg의 추를 76cm의 낙하고로 자유 낙하시켜 30cm 관입시키는데 필요한 타격 횟 수를 구하는 시험이다.
최대 2.0m 심도 간격으로, 대표성이 있는 곳이나 지층이 변하는 곳에서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시추공 내 수위는 최소 지하수위 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하며, 슬라임 또는 시추공 벽의 붕괴 등으로 50mm 이상 차이가 났을 때에는 이를 제거한 후 시험을 실시한다.
N치로부터 해당 지층의 상대밀도나 전단 강도를 파악하여 흙의 지내력을 추정할 수 있다. 자갈층의 경우에는 N치로부터 판정하기 어렵다.
사질토의 N 치
N치 | 흙의 상태 | 상대밀도 | 내부마찰각 | 현장관찰 |
0~4 | 대단히 느슨 |
0.2 이하 |
30° 이하 | D13 철근이 손으로 쉽게 관입 |
4~10 | 느슨 | 0.2~0.4 | 30°~35° | 삽으로 굴착 가능 |
10~30 | 중간 | 0.4~0.6 | 35°~40° | D13 철근이 5파운드 해머로 쉽게 관입 |
30~50 | 조밀 | 0.6~0.8 | 40°~45° | D13 철근이 5파운드 해머로 쳐서 30cm 정도 관입 |
50이상 | 대단히 조밀 |
0.8 이상 |
45° 이상 | D13 철근이 5파운드 해머로 쳐서 5~6cm 정도 관입, 굴착시 곡괭이가 필요하며 타입시 금속음 발생 |
점성토의 N 치
N치 | 흙의 상태 | 전단강도 | 일축압축강도 | 현장관찰 |
2이하 | 대단히 무름 | 0.14 이하 | 0.25 이하 | 주먹이 10cm 정도 쉽게 관입 |
2~4 | 무름 | 0.14~0.25 | 0.25~0.5 | 엄지손가락이 10cm 정도 쉽게 관입 |
4~8 | 중간 | 0.25~0.5 | 0.5~1.0 | 노력하면 엄지손가락이 10cm 정도 쉽게 관입 |
8~15 | 단단 | 0.5~1.0 | 1.0~2.0 | 손가락으로 관입 곤란 |
15~30 | 대단히 단단 | 1.0~2.0 | 2.0~4.0 | 손톱으로 자국이 남 |
30 이상 | 딱딱 | 2.0 이상 | 4.0 이상 | 손톱으로 자국을 내기 어려움 |
현장 베인전단시험
보링 구멍을 이용하여 50~100mm 크기의 베인을 지중의 소요 깊이까지 넣은 후 회전시켜 회전력에 저항하는 모멘트를 측정한다. 연약점성토질에 사용하며 10m 이상의 깊이가 되면 로드의 헛돌음 등이 있어 부정확하다.
2023.03.16 - [건축 시공학] - 지하탐사 및 시추조사
지하탐사 및 시추조사
현장답사 지반조사의 첫번째 단계는 현장답사로서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지형이나 지반 상태를 확인하고 인근 지역 주민이나 공사 관계자들의 청문을 통하여 과거의 지형변화 등에 대한 정보
hy-mouse.tistory.com
2023.03.15 - [건축 시공학] - 건축 공사와 물의 관계
건축 공사와 물의 관계
물은 지반을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의 하나이며 가설공사, 토공사, 기초공사, 콘크리트 공사, 외벽공사, 마감 공사 등 대부분의 공사 과정에서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므로 공사 과정 및 공종별로
hy-mouse.tistory.com
'건축 시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료 채취 및 토질 시험 (0) | 2023.03.20 |
---|---|
시추 주상도와 지반조사보고서 (0) | 2023.03.19 |
보링의 간격, 깊이 중류까지 한번에 확인하기 (0) | 2023.03.17 |
지하탐사 및 시추조사 (0) | 2023.03.16 |
건축 공사와 물의 관계 (0) | 2023.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