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2

특수 콘크리트 - 매스 콘크리트 부재의 단면이 커서 시멘트의 수화열로 인해 온도 균열이 생길 가능성이 큰 구조물에 타설하는 콘크리트이다. 부재의 두께가 800mm 이상이거나 하단이 구속된 경우에는 두께 500mm 이상의 벽체 등에 타설하는 콘크리트로서, 온도 균열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 콘크리트 강도가 커지고 부재의 크기가 커져 수화열에 의한 온도 균열 발생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매스콘크리트의 온도 균열 시멘트 수화열에 의한 매스 콘크리트의 온도 균열 발생 원리는 크게 내부 구속과 외부 구속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내부 구속 콘크리트에 포함된 시멘트는 물과 수화반응을 하여 발생시킨다. 콘크리트 표면에서는 수화열이 외부로 방출되고 콘크리트 내부에서는 수화열이 방출되지 못하여 온도 차이가 크게 난다. 온도 차이는 콘크리트 .. 2025. 2. 28.
특수 콘크리트 - 서중콘크리트 공사 하루의 평균 기온이 25℃를 초과하거나 하루 최고 기온이 40℃ 이상으로 예측되는 기상 조건에서 타설하는 콘크리트 공사이다. 콘크리트는 온도가 높을 경우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과도하게 촉진시켜 장기 강도가 저하되며, 빠른 응결로 콜드조인트가 발생하고 슬럼프가 저하된다. 서중콘크리트 공사는 될 수 있는 대로 콘크리트의 온도를 낮게 하여 생산·시공해야 한다.서중콘크리트 생산 시 주의 사항 -기온이 10℃ 상승에 단위 수량은 2~5% 증가하며 단위 수량이 증가하면 단위 시멘트량도 증가하여 수화열이 증가하므로 온도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 콘크리트 배합은 필요한 강도, 워커빌리티를 얻을 수 있는 범위내에서 단위 수량 및 단위시멘트량을 적게 해야 한다. - 재료의 온도를 되도록 낮게 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 2025. 2. 27.
특수 콘크리트 - 한중콘크리트 공사 하루의 평균 기온이 4℃ 이하가 예상되는 기상 조건에서 타설하는 콘크리트로 응결반응이 늦어져 콘크리트가 동결할 우려가 있다. 한중 콘크리트를 시공할 때는 콘크리트가 동결되지 않고 요구되는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콘크리트 타설 및 보양에 적절한 대책이 필요하다.  한중 콘크리트 생산 시 유의 사항 - 동결된 골재나 눈·얼음이 포함된 골재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 재료를 가열할 경우 시멘트는 절대로 가열해서는 안 되며, 물과 골재는 혼합 전에 가열하고 가열 시 직접 불꽃에 대어서는 안 된다. - 타설 시 콘크리트의 온도는 10~20℃가 되어야 한다. 부재 두께가 얇거나 기온이 낮은 경우에는 10℃ 이상이 되게 한다. - 시멘트는 믹서 내 재료의 온도가 40℃ 이하가 될 때 투입한다. - AE제, AE감수제.. 2025. 2. 26.
특수 콘크리트 시공 - 경량콘크리트 공사 특수 콘크리트는 구조물의 특성, 환경조건, 구조형식, 크기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콘크리트의 성능 중 특별한 하나를 선택하여 그 성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만든 콘크리트이다. 건축물이 대형화, 고층화되면서 고강도 콘크리트·고내구성 콘크리트·고유동성 콘크리트 등 고성능 콘크리트를 요구하고 있고, 공기단축 요구가 증대되면서 열악한 온도 조건에서 콘크리트 공사를 시행할 경우가 많아서 해당 요구조건에 적합한 콘크리트가 필요하게 된다.  경량콘크리트 공사구조물을 경량화할 수 있고 열 차단에 유리한 콘크리트로서 보통 골재보다 중량이 가벼운 경량골재를 사용하거나 기포를 혼입하여 만든다.경량콘크리트의 특성 - 경량콘크리트의 절건비중은 2.0 이하이고, 단위 중량은 1,400~2,000kg/㎥ 정도이다. - 경.. 2025. 2. 25.
콘크리트 줄눈 - 특수줄눈 ( 슬라이딩 조인트, 슬립 조인트) 슬라이딩 조인트 슬래브나 보를 단순지지로 하고자 설치하는 줄눈으로 크립, 수축, 온도 저하로 인한 콘크리트 변화를 흡수한다     슬립 조인트 조적 벽과 철근콘크리트조 슬래브 사이의 자유로운 거동을 유도하여 슌열을 방지하는 줄눈으로 이질 부재가 맞닿는 면에 설치한다. 서로 다른 부재는 열적·물리적 팽창량이 달라 부재 각각의 움직임이 다르게 되며 이에 따라 균열이 발생한다. 2025. 2. 24.
건축기사 시험 건축기사(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건축기사 구분,필기원서접수,필길시험,필기합격발표,실기원서접수,실기시험,최종합격자발표일 항목 순으로 시험일정 안내표구분필기원서접수(인터넷)(휴일제외)필기시험필기합격(예정자)발표실기원서접수(휴일제외)실기시험최종합격자발표일2025년 정기 기사 1회2025.01.13~2025.01.16[빈자리접수 : 2025.02.01~2025.02.02]2025.02.07~2025.03.042025.03.122025.03.24~2025.03.272025.04.19~2025.05.092025.06.132025년 정기 기사 2회2025.04.14~2025.04.172025.05.10~2025.05.302025.06.112025.06.23~2025... 2025. 2. 23.
콘크리트 줄눈 - 신축/팽창 줄눈, 조절줄눈 신축/팽창줄눈 온도변화에 따른 구조체의 팽창·수축을 흡수하고, 부등침하·횡 변위 차이·진동 등에 의한 균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영구 줄눈이다. 하나의 건물을 2개 이상의 매스로 분리 시공하여 생긴 줄눈으로 설계단계에서부터 계획한다.  신축/팽창줄눈의 설치 위치 및 방법 건물의 형태가 비정형 구조물일 때는 건물 방향이 바뀌는 곳에 설치한다 단면의 차이가 많은 곳이나 외기에 직접 면하는 면적이 넓은 경우에 설치한다 고층부에 일부 저층부가 붙을 때 설치한다 신축/팽창줄눈은 60m 간격, 30~60mm의 폭으로 설치한다. 신축/팽창줄눈의 설치 시 유의 사항 줄눈 위치의 마무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누수가 발생한다 신축/팽창줄눈은 기초 부동침하, 진동, 기타 구조물의 형태 등을 고려하여 위치 및 구조를 정해야 .. 2025. 2. 23.
콘크리트 줄눈 -지연줄눈 공사 중에 한시적으로 설치하는 줄눈으로서 구조물의 일부분을 일정 폭으로 남겨두고 인접 부위의 콘크리트를 먼저 타설하여 초기 건조수축을 어느 정도 진행시킨 후 해당 스트립 부분을 마지막으로 타설하여 일체화시킨다. 콘크리트는 타설 4주 경과 후 전체 수축량의 약 50%의 건조수축이 일어나며, 이로 인해 발생된 균열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적 취약점으로 작용한다.  지연 줄눈의 특징 - 면적이 넓은 구조물에 유리하며, 팽창줄눈과 같은 2종 기둥이 필요 없다. - 구조체의 일부가 후속 공정이 되며, 거푸집 존치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 한시적인 조인트이므로 특수한 방수 마감은 필요 없다.지연 줄눈의 설치 위치 및 유의 사항 - 지연 줄눈 부분의 콘크리트 타설은 인접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4주 후에 실시한다. .. 2025. 2. 22.
콘크리트 줄눈 - 시공 줄눈 기온변화, 지진 및 바람, 건조수축 등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은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건축물에서 균열은 구조적·미관적으로 좋지 않으므로 줄눈을 설치하여 방지해야 한다.  시공줄눈콘크리트 시공상 필요에 의해서 콘크리트 타설을 중단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이음이다. 콘크리트는 한꺼번에 타설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악천후, 기계 고장, 거푸집의 전용, 콘크리트 1일 타설 능력 등에 의해 연속작업이 불가능한 경우 이어치기를 해야 한다. 콘크리트 이음 면은 구조·강도상 취약 부위가 되고, 누수 및 균열의 원인이 되므로 될 수 있는 한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시공줄눈의 설치 위치 시공이음은 전단력이 작은 위치에 설치하고 압축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직각 되게 해야 하지만, 콘크리트 타설량, 철근배근 상황 .. 2025. 2. 21.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검사 콘크리트 구조물이 완성된 후에는 구조물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지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재하시험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에 의심이 생기는 경우, 현장에서 채취한 콘크리트 공시체의 압축강도 시험을 통해 강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구조물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재하시험을 실시한다.  재하시험 방법 강도가 의심스러운 구조물의 위험단면에서 최대응력과 처짐이 발생하도록 하중을 배치하고 재하할 시험하중은 설계하중의 85% 이상이 되도록 한다. 시험하중은 4회 이상 균등하게 나눈다.  재하기준 처짐, 균열폭 등 기준이 되는 영점은 시험하중을 재하하기 1시간 전에 측정한다. 측정 시험하중이 가해진 직후, 시험하중이 24시간 이상 존치된 후 측정값을 읽어야 하고, 최종 잔류측정값은 시험하중을 제거한 지 24시.. 2025. 2.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