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의 배합과 시공 계획
콘크리트의 배합이란 필요한 강도, 내구성, 워커빌리티, 수밀설, 균열저하성성, 철근 또는 강재를 보호하는 성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콘크리트의 구성 재료인 시멘트, 물, 잔골재, 굵은 골재를 적당한 비율로 가장 경제적으로 혼합하라는 것을 말하며 공기량 및 혼화 재료도 포함한다. 같은 배합을 적용하여도 사용 재료가 다르면 강도, 내구성, 워커빌리티 등 여러 가지 성질이 변화하므로 실제 사용하는 재료에 대한 시험을 하여 그 결과를 가지고 배합을 결정하여야 한다. 배합설계를 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기존의 문헌이나 참고자료를 참고하기를 바라며 이번에는 개략적인 개념만 소개할 것이다. 배합 강도는 표준양생에 의한 재령 28일 공시체의 압축강도로 표시한 것으로 구조물에 사용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설계 기준강도보다 ..
2023. 1. 29.
토공사의 범위 및 정의 알아보기
토공사는 건축물의 지하구조물을 만들기 위해서 이루어지는 터파기 공사와 흙막이 공사 및 이에 부수되는 공사를 말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표토 제거, 절토, 성토 등의 지반 정지공사, 터파기, 잔토 처리 및 되메우기 등의 굴토 공사, 흙막이 벽체, 지지체, 차수벽 등의 흙막이 공사 등의 토공사의 범주에 포함한다. 이러한 토공사는 건축물의 고층화·대형화 경향에 따라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특히 도심지 건축물의 지하 공사는 높은 지가와 주차 공간 확보의 필요성 등으로 인해 굴착 깊이는 깊어지고 규모는 점차 커지고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지하 공사의 작업은 작업공간의 확보, 인접 구조물의 피해 예방, 민원 발생 억제, 지중 매설물 보호 등에 있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과거 토공사의 주된 관심 사항은 흙..
2023. 1. 25.
가설공사에 대한 종류와 구분
가설공사는 건축공사에서 본 공사를 위하여 필요한 일시적인 설비를 하는 공사를 말하며, 본 공사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은 건물이 철거될 때까지 그 자리에 남지만, 가설공사로 취급되는 것은 공사 초기에 설치되었다가 해당 가설이 필요한 해당 공종의 공사가 끝나면 해체된다. 그리고 가설공사는 현장 여건, 공사의 규모, 공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공사의 성격에 따른 사전의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가설공사를 공통가설공사, 직접 가설공사 그리고 가설 장비로 분류할 수 있으며, 공통가설공사는 특정 공종에 국한돼서 본 공사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구조물이나 시설물이 아니고 각 공종의 작업을 진행하는데 공통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가설 울타리, 가설건물, 가설도로, 공사용 전력 설비, 공사 용수 설비 등을 말하고..
2023.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