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축 시공학185 미장 공사의 특성 및 요구조건 미장공사는 현장에서 모르타르·석고 플라스터 등의 바름 재료를 혼합하여, 미장공이 흙손 또는 뿜칠기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로 부착함으로써 벽·천장·바닥 등의 부위를 구성하는 공사이다. 미장 마감은 그 자체로 내벽·외벽 마감이 되거나 다른 재료 마감의 바탕을 조성할 목적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중요한 공사라고 말할 수 있다. 미장 마감은 구체·바탕 면과의 적응성이 양호해야 하며, 구석구석 균일하게 얼룩 없이 바르고, 특히 바탕 재의 움직임에 따른 균열·박리뿐만 아니라 백화 등 결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외벽에서는 방수성·방습성, 발화성·내화성,·내구성이 필요하며, 내벽의 경우에는 발화성·내화성, 방음성·단열성·기질성이, 바닥의 경우에는 내마모성·내수성·탄력성이 필요하다. 미장공사는 다음과 같은 문제.. 2023. 2. 10. 지붕 공사의 계획 부터 종류까지 지붕잇기는 천연슬레이트·점토기와·금속판·아스팔트 실링 등의 지붕재료를 이어서 지붕을 구성하고 지붕의 구배 및 겹쳐잇기를 이용하여 우수의 침입을 방지하는 공법이다. 지붕잇기 재료는 종류가 다양하고 잇기재료의 성질에 따라 구법이 다르기 때문에 각 구법에 대하여 재료별로 표준롸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공법의 선택에서부터 나누기까지 설계단계에서 검토가 불충분하면 공사 중이거나 공사 후에도 누수 등 다양한 결함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지붕잇기 공사 계획은 다음 항목에 대해 검토하고 재료의 선택 및 시공방법을 결정하여 그 내용을 시공계획서 또는 시방서에 명확하게 기술해야 한다. 1. 지붕의 형상·구배 및 요구되는 외관 2. 건축물의 용도 및 규모, 법령에 의한 규제 3. 구조 공법, 지붕잇기 재료의 종류, 형상.. 2023. 2. 9. 아스팔트 방수, 합성고분지계 시트 방수, 시멘트 액체 방수 알아보기 아스팔트는 천연 아스팔트와 석유아스팔트가 있고, 석유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블로운 아스팔트로 다시 분류할 수 있다. 방수공사용 아스팔트는 통칭 아스팔트 컴파운드의 1종~4종을 말하는 것으로 1종에서 4종으로 갈수록 감온성이 적다. 아스팔트 방수는 아스팔트 펠트, 아스팔트 루핑 등을 여러 겹 붙여서 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방수성능을 얻는 방수공법이라 할 수 있다. 블로운 아스팔트는 원유에서 휘발유, 경유, 등유 등을 뺀 나머지 중질유를 가열하면서 다량의 공기를 뿜어 넣어 산화시켜 제조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실내나 지하구조물 등 주로 안정된 환경에서 사용한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신축이 좋고 접착력도 우수하지만 연화점·내구력이 낮아 잘 쓰이지 않는다. 지하실, 아스팔트 침투용으로 사용한다. 아스팔트.. 2023. 2. 8. 부위별 방수 공법 및 특성 방수공사는 건축물 외부에서 침투하는 물이나 습기를 막아 시설물을 보호하고 건축물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물이나 습기에 강한 재료를 사용하여 물, 틈, 압력 차 등에 의해 발생하는 물과 습기의 침투로부터 건축물을 보호하는 공사라 할 수 있다. 방수 시공은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하다기보다는 상세부위의 세심한 배려와 성실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사관리를 철저히 해주는 것이 중요한 공종이라 할 수 있다. 방수공사 계획에서 유념해야 할 기본적인 사항들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물이 고이면 누수되는 것은 물을 구배를 따라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하고, 물은 들어오는 방향에서 차단하도록 한다. 최초의 방수는 모체의 결손 부위 관찰이다. 방수의 품질은 모체의 품질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방수.. 2023. 2. 7. 여러 가지 벽돌 쌓기 방법 알아보기 영식 쌓기는 입면 상에서 한 켜는 길이 쌓기로 하고 다음 터는 마구리쌓기로 하여 벽체를 쌓는 방식이다. 모서리 벽 끝에는 이오토막, 반절을 사용하여 통줄눈이 최소화되어 가장 튼튼한 방식이며, 주로 내력 벽체에 많이 사용된다. 화란식 쌓기는 영식 쌓기와 원리는 같으나 길이 쌓기 켜의 끝부분에 칠오토막을 사용한다. 영식 쌓기보다 약간 덜 튼튼하고 모서리 끝에는 세로줄눈이 잘 맞지 않게 될 때도 있으나, 쌓기가 편리할 뿐 아니라 모서리 벽 끝에 작은 이오토막을 사용하면 쌓을 때 불안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화란식 쌓기를 많이 사용한다. 불식 쌓기는 매 켜에 길이와 마구리가 번갈아 나오게 하는 방법으로 통줄눈이 많아 구조적으로 튼튼하지 못하나 외관은 좋다. 따라서 치장 쌓기 벽체 또는 벽돌담 등에 .. 2023. 2. 6. 벽돌 공사의 준비부터 쌓기 법까지 조적 공사라 함은 벽돌, 블록, 돌 등의 재료를 시멘트와 같은 접착재료나 연결철물 등을 사용하여 소규모의 건축물, 칸막이 벽체, 외부 마감 등을 형성하는 공사를 말한다. 아파트나 사무소 건축물의 칸막이 벽체와 같이 구조적으로 힘을 받지 않는 곳에 시멘트 벽돌, 시멘트 블록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ALC 블록과 패널의 보급으로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조적 공사는 구조와 시공이 간단하고, 재료 구입과 공사비 측면에서도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조적 공사에서는 균열, 누수, 백화 등의 결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공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벽돌 공사를 준비할 때는 세로 규준틀은 뒤틀리지 아니한 건조한 직선제를 대패질하여 벽돌 줄눈을 명확히 먹매김하고 쌓기 단수와 기타 관계 사항.. 2023. 2. 5.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