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축시공177

균열의 보수 및 보강 - 표면처리 공법, 주입공법 균열의 목적은 균열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능저하나 내구성 저하를 회복시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균열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균열의 상황을 충분히 파악하고 보수의 목적에 가장 적합한 보수 방법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표면처리 공법표면처리 공법은 미세한 균열 위에 도막을 구성하여 방수성, 내구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행하는 공법으로 균열부분만을 피복하는 방법이다. 표면처리 공법은 균열 내부의 처치를 할 수 없다는 ㅋ첨이나 균열이 활성화 될 시에는 균열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점 등의 결점이 있다. 표면처리 공법에 쓰이는 재료는 보수목적이나 그 구조물의 환경에 따라 다른데, 일반적으로는 도막탄성 방수재, 폴리머 시멘트 풀, 시멘트 필러 등이 이용된다.   주입공법주입공법은 균열에 수지계 혹은 시멘트계.. 2025. 3. 19.
균열 검사 및 평가 육안 검사균열이 생긴 부위를 육안으로 검사하여 균열 폭과 길이, 방향, 발전 경로 등을 조사하여 구조체에 표시하고 그 부위를 스케치와 함께 사진을 찍어둔다. 균열 폭의 측정에는 다음 그림과 같은 균열 측정용 스케일이나 휴대용 균열폭 측정기를 사용하면 0.0025~0.05mm의 균열 폭까지 측정할 수 있다. 비파괴 검사콘크리트 균열 조사에는 초음파 탐사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공진법, 펄스 반사법 및 음향 반사법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기기들은 비교적 설치가 간단하여 사용하기가 편리하나,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경험을 필요로한다. 이밖에 방사선이 물체를 통과하는 성질을 이용한 방사선 탐사법이 있다. 코아 검사코아 검사는 의심이 가는 부분의 코아를 채취하여 .. 2025. 3. 18.
환경적 측면에서 발생하는 균열 - 온도, 습도의 변화 (콘크리트 경화,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과 유사하며, 발생한 균열은 온도, 습도의 변화에 따라 변동) - 부재 양면의 온도, 습도의 차이 (저온 측 또는 저습 측의 표면에 흼방향과 직각으로 발생) - 동결융해의 반복 (표면이 부풀어 올라서 부슬부슬 떨어지게 됨) 화재, 표면의 가열 (표면 전체에 거북 등 모양의 균열이 발생) - 내부 철근의 녹 (철근에 따라 균열 발생, 피복 콘크리트 박락, 녹의 유출) - 산, 염류의 화학작용 (표면이 침식되고 팽창성 물질이 형성되어 전면에 균열이 발생) 2025. 3. 17.
시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균열 - 혼화제의 불균일 분산 (전면에 망상 또는 길이가 짧은 불규칙한 균열 발생) - 장시간 비비기 (전체 면에서 망상 균열과 길이가 짧은 불규칙한 균열 발생) - 시멘트량과 물의 증가 (콘크리트의 침하 및 블리딩에 의한 균열, 또는 콘크리트 경화,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의 원인이 됨) - 철근 피복두께의 감소 (바닥에서는 주변을 따라 원형으로 발생하며, 철근, 배관이 설치된 표면에 연하게 발생) - 급속한 타설 (표면 곰보, 균열 발생의 기점이 되기 쉬움) - 불충분한 다짐 (바닥 주변 배근, 배관 설치 표면에 균열 발생) - 거푸집 지지공의 침하 (강도 부족에 의해 균열 발생) - 시공이음 처리의 불량 (콘크리트 시공이음 장소나 콜드조인트가 균열로 발생) - 경화 전의 진동과 재하 (타설 직후 표면의 각 .. 2025. 3. 16.
재료적 측면의 콘크리트 균열 재료적 측면의 콘크리트 균열재료적 측면에서 콘크리트의 균열은 굳지 않은 상태에서 균열과 굳은 후 발생하는 균열이 있다.  - 시멘트 이상 응결 (폭이 크고, 짧은 균열, 불규칙하며 신속히 발생) - 시멘트 이상 팽창 (방사형의 그물모양 균열) - 콘크리트의 침하 및 Bleeeeding (타설 1~2시간 후 철근 상부와 벽, 슬래브 경계부에 불연속적으로 발생) - 골재에 포함된 토분 (콘크리트 표면의 건조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망상 균열이 발생) - 시멘트의 수화열 (단면이 큰 콘크리트에서 1~2주 후 직선상 등간격, 규칙적으로 부재 표면 혹은 관통 균열이 발생) - 콘크리트 경화 및 건조수축 (2~3개월 후에 개구부, 코너부에 경사 균열, 슬래브, 보 등에 세장한 등간격 균열) - 반응성 골재와 풍화암 사.. 2025. 3. 15.
콘크리트의 변형과 균열 - 건조수축 변형, 크리프 변형 건조수축 변형건조수축 변형은 그림과 같이 수화된 시멘트에 흡착되었던 수분이 증발하여 건조되는 과정에 콘크리트의 체적이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그림과 같이 창문이나 문 또는 기둥의 모서리에 균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균열 방향의 직각으로 45도 경사철근을 각기 2대씩 설치한다. 참고로 건조수축 변형은 콘크리트와 주위 상대습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크리프 변형크리프 변형은 그림과 같이 지속 하중에 의해 시간의 경과와 함께 증대하는 변형을 의미한다. 즉, 콘크리트 구조가 완성된 후 사용 한계를 넘은 시간이 지나면, 장기 재하에 따른 피로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며, 그 결과 균열이 발생한다. 이것을 크리프 변형에 의한 균열이라 한다. 2025. 3. 14.
반응형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