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축시공177 특수 콘크리트 - 프리팩트 콘크리트, 해양 콘크리트, 팽창 콘크리트, 섬유보강 콘크리트 프리팩트 콘크리트 거푸집 속에 미리 굵은 골재를 채워 넣은 후, 그 속에 유동성이 좋은 특수 모르타르를 적당한 압력으로 주입하여 타설한 콘크리트이다. 프리팩트콘크리트는 기존 구조물의 보수·보강 공사에 사용하며 기초공사 및 주열식의 현장 타설 흙막이 공사에 사용한다. 거푸집의 강도는 주입 모르타르의 측압을 견뎌야 하며, 이음부에서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이 없도록 한다. 프리팩트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콘크리트의 품질을 확인하기가 어려우므로 필요한 품질이 확실히 얻어질 수 있도록 모르타르의 배합을 결정하고 시공 방법을 정한다. 해양콘크리트 해양콘크리트는 바닷속이나 바다가 가까워 염해를 받기 쉬운 곳에 시공하는 콘크리트이다. 해양콘크리트는 염해에 의해 콘크리트가 노후되고 강재의 부식이 일어나기 쉬우.. 2025. 3. 6. 특수 콘크리트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 주어진 하중에 의해 부재에 일어나는 응력의 크기와 분포를 가상하여, 부재에 하중이 가해지기 전에 이를 상회할 수 있는 힘을 미리 인공적으로 준 콘크리트로 콘크리트 속에 철근 대신 강도가 높은 PS 강재를 삽입하여 프리스트레싱한다. 콘크리트의 인장력이 생기는 부분에 프리스트레스를 주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증가시킨다. 하중에 대한 균열, 수축에 의한 균열이 적고 탄력성 및 복원성이 크며 장 스팬 대형 보에 많이 사용한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공사 시 유의 사항 - PS 강재에는 PS 강선, PS 강봉, PS 스트렌드, 피아노선 등이 있는데 KS 규정에 적합한 것을 사용해야 하며 열의 영향을 받는 것은 사용해서는 안 된다. -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시스의 내부에 시멘트 페이스트가 들어가 막히지 않도록.. 2025. 3. 5. 특수 콘크리트 - 수밀콘크리트, 수중콘크리트 수밀 콘크리트 수영장, 저수조, 지하실 등 압력 수가 작용하는 구조물로서 특별히 수밀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 시공하는 콘크리트이다. - 콘크리트는 이음부가 누수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음부의 수밀성 확보가 중요하다. -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물시멘트비(55% 이하), 슬럼프(180mm 이하), 공기량을 적게 하고 단위 굵은 골재량은 많게 한다. - 콘크리트의 다짐을 충분히 하며 가급적 이어치기 하지 않는다. - 연직 시공 이음에는 지수 판을 설치하여 누수를 방지한다.수중 콘크리트 현장타설콘크리트 말뚝, 지하연속벽 등 물속 또는 안정액 속에서 시공하는 콘크리트 공사이다. 수중콘크리트는 수중에서 시공하므로 수중 분리 저항성을 가져야 한다. 수중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 단위시멘트량, 슬럼프값은.. 2025. 3. 3. 특수콘크리트 - 고내구성 콘크리트 높은 내구성을 필요로 하는 건축물에 사용하는 콘크리트로서 파손·노후·균열 등이 생기지 않고 오랜 기간 동안 사용 성능을 유지한다. 콘크리트의 내구성은 염해, 중성화, 알칼리골재반응, 동결융해, 온도변화, 건조수축 등에 의해 저하되므로 배합설계 및 시공 과정에서 철저한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설계기준강도는 보통 콘크리트에서 21~40MPa, 경량 콘크리트에서는 21~27MPa 정도로 정한다. 슬럼프값은 120mm 이하, 유동화제를 사용할 경우는 180mm 이하로 하며 물시멘트비 최댓값은 다음과 같다. 종류보통콘크리트(%)경량콘크리트(%)포틀랜드 시멘트고로슬래그 시멘트 특급실리카 시멘트 A종플라이 애시 시멘트 A종5055고로 슬래그 시멘트 1급실리카 시멘트 B종플라이 애시 시멘트 B종5555 2025. 3. 2. 특수콘크리트 - 고강도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가 보통 콘크리트는 40MPa 이상, 경량콘크리트는 27MPa 이상의 콘크리트로 강도·내구성·수밀성이 우수한 고품질의 콘크리트이다. 고강도 콘크리트는 단면의 축소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화학적 작용에 강하며, 고성능 감수제의 사용으로 시공성이 좋다. 고강도콘크리트 생산 시 유의사항 물시멘트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한다.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플라이애시, 실라카흄, 고로슬래그 미분말 등의 혼화재를 사용한다. 굵은 골재는 콘크리트 강도 및 워커빌리티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대소의 입자가 고르게 포함되고 공극률이 작은 것을 사용한다. 물 시멘트비는 50% 이하로 한다 단위 수량, 단위시멘트량, 잔골재율은 소요 워커빌리티 및 강도를 얻을 수 있는 범위내에서 가능한.. 2025. 3. 1. 특수 콘크리트 - 매스 콘크리트 부재의 단면이 커서 시멘트의 수화열로 인해 온도 균열이 생길 가능성이 큰 구조물에 타설하는 콘크리트이다. 부재의 두께가 800mm 이상이거나 하단이 구속된 경우에는 두께 500mm 이상의 벽체 등에 타설하는 콘크리트로서, 온도 균열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 콘크리트 강도가 커지고 부재의 크기가 커져 수화열에 의한 온도 균열 발생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매스콘크리트의 온도 균열 시멘트 수화열에 의한 매스 콘크리트의 온도 균열 발생 원리는 크게 내부 구속과 외부 구속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내부 구속 콘크리트에 포함된 시멘트는 물과 수화반응을 하여 발생시킨다. 콘크리트 표면에서는 수화열이 외부로 방출되고 콘크리트 내부에서는 수화열이 방출되지 못하여 온도 차이가 크게 난다. 온도 차이는 콘크리트 .. 2025. 2. 28. 이전 1 2 3 4 5 6 7 ··· 30 다음 반응형